본문 바로가기
728x90

Data & Programming81

[C언어] C언어 개발시 메모리 누수 오류의 원인과 방지 방법 [C언어] C언어 개발시 메모리 누수 오류의 원인과 방지 방법 C언어로 리눅스 코어뱅킹 은행 시스템을 개발하다 보면 메모리 누수 오류는 흔하게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메모리 누수 오류는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를 해제하지 않아 시스템의 메모리가 점차 고갈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C언어 개발시 자주 발생하는 메모리 누수 오류의 원인과 방지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오류 원인] 메모리 누수 오류가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동적 메모리 할당 후 해제하지 않음 C 언어에서 malloc, calloc 등을 사용하여 메모리를 동적으로 할당하면, 해당 메모리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 free 함수를 호출하여 반드시 해제해야 합니다. 해제하지 않으면 할당된 메모리가 반환.. 2023. 8. 31.
[오라클-오류] ORA-15477: cannot communicate with the volume driver [Oracle-오류] ORA-15477: cannot communicate with the volume driver 오라클 오류코드인 ORA-15477은 Oracle Automatic Storage Management (ASM) 볼륨 드라이버와 통신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이 에러의 원인과 해결방안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류 내용] ORA-15477 에러는 Oracle ASM 볼륨 드라이버와 통신할 수 없을 때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Oracle ASM은 Oracle 데이터베이스의 스토리지 관리 솔루션으로, 디스크 그룹(disk group)이라는 논리적인 스토리지 풀을 제공합니다. 디스크 그룹은 하나 이상의 디스크를 포함하며, ASM 볼륨 드라이버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와 통신합니다. OR.. 2023. 8. 30.
[C언어] 리눅스 코어뱅킹 코어덤프(세그멘테이션 폴트) 오류와 대응방안 : Linux CoreBanking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 [C언어] 리눅스 코어뱅킹 코어덤프(세그멘테이션 폴트) 오류와 대응방안 : Linux CoreBanking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 오류와 대응 방법 리눅스 코어뱅킹에서 C 언어로 개발할 때 자주 발생하는 세그멘테이션 폴트 (Segmentation Faults) 오류와 대응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세그멘테이션 폴트 (Segmentation Faults)는 리눅스 코어뱅킹에서 C 언어로 개발할 때 자주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입니다. 이 오류는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발생하며, 메모리 관리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류발생] 1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 [원인분석] 코어덤프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 2023. 8. 30.
[오라클-오류] ORA-12541: TNS:no listener,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 (TNS 리스너가 없거나 현재 연결을 수락하지 않습니다.) [Oracle-오류] ORA-12541: TNS:no listener,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 (TNS 리스너가 없거나 현재 연결을 수락하지 않습니다.) Oracle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TNS (Transparent Network Substrate) 리스너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때로는 TNS 리스너가 없거나 현재 연결을 수락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류인 ORA-12541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ORA-12541 오류에 대한 상세한 내용과 해결 방법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오류 내용 ORA-12541: TNS 리스너가 없거나 현재 연결을 수락하지 않습니다. 오류 설명.. 2023. 8. 29.
[데이터분석]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정형 데이터 분석하기 [데이터분석]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정형 데이터 분석하기 데이터는 일정한 포맷에 담긴 정형 데이터와 그렇지 않은 비정형 데이터가 있습니다. 파이선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정형 데이터는 엑셀과 CSV 파일이 있습니다. 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려 합니다. 1. 데이터 수집하기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유동인구 데이터 수집하기 → 보통 공공데이터포털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면, 바로 다운로드 버튼이 있는 경우가 있고, 아래 데이터 처럼 다른 사이트로 링크되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 경기데이터드림(www.data.gg.go.kr)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이 많이 있지만, 전 CSV 데이터포멧으로 다운 받았습니다. 2. 데이터 탐색하기 데이터.. 2023. 8. 27.
[Oracle-오류] ORA-12505: TNS: listener does not currently know of SID given in connect descriptor (TNS 리스너에 대한 접속이 거부되었습니다) [Oracle-오류] ORA-12505: TNS: listener does not currently know of SID given in connect descriptor (TNS 리스너에 대한 접속이 거부되었습니다) Oracle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TNS (Transparent Network Substrate) 리스너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데이터베이스 간의 통신이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때로는 TNS 리스너에 대한 접속이 거부되는 오류인 ORA-12505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ORA-12505 오류코드는 "Listener refused the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error: ORA-12505, TNS:listener does not currently know.. 2023. 8. 27.
[오라클-오류] ORA-04091: table is mutating, trigger/function may not see it (테이블이 변경되어, 트리거/함수가 볼 수 없습니다) [Oracle-오류] ORA-04091: table is mutating, trigger/function may not see it (테이블이 변경되어, 트리거/함수가 볼 수 없습니다) ORA-04091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트리거가 트리거를 소유한 테이블을 참조할 때 발생하는 오류로, "ORA-04091: table name is mutating, trigger/function may not see it"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오류 내용 ORA-04091 오류는 트리거가 소유한 테이블을 참조하려고 할 때 발생합니다. 이 경우 트리거 내에서 소유한 테이블을 참조하면 트리거가 실행되면서 테이블 내용이 변경되는데, 이 변경된 테이블 내용을 다시 트리거가 참조하게 되어 무한 루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23. 8. 26.
[오라클-오류] ORA-04063: table/view has errors [Oracle-오류] ORA-04063: table/view has errors ORA-04063은 오라클에서 발생하는 오류 코드로, "view has errors"라는 메시지와 함께 발생합니다. PL/SQL (Procedural Language/Structured Query Language)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프로시저, 함수, 패키지 등의 객체를 생성하고 실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이러한 객체에 접근하거나 실행할 때 ORA-04063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원인 잘못된 객체 이름: 프로시저, 함수 또는 패키지 이름을 올바르게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객체 부재: 입력한 이름의 객체가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을 때 오류가 발생합니다. 뷰의 정의 쿼리에서 .. 2023. 8. 24.
[오라클-오류] ORA-04030: out of process memory (메모리 부족) [Oracle-오류] ORA-04030: out of process memory (메모리 부족) Oracle 데이터베이스 운영 중에는 가끔 메모리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Oracle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류 중 하나인 ORA-04030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류 내용 ORA-04030 오류는 Oracle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 오류는 주로 PGA (Program Global Area) 또는 UGA (User Global Area) 영역에서 발생하며, 데이터베이스나 응용 프로그램의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필요한 메모리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 ORA-04030 오류가 발생하는 주요.. 2023. 8. 22.
[오라클-오류] ORA-02303: cannot drop or replace a type with type or table dependents (타입 또는 테이블 종속성을 가진 타입을 삭제하거나 대체할 수 없습니다) [Oracle-오류] ORA-02303: cannot drop or replace a type with type or table dependents (타입 또는 테이블 종속성을 가진 타입을 삭제하거나 대체할 수 없습니다) ORA-02303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발생하는 오류 코드로, "타입 또는 테이블 종속성을 가진 타입을 삭제하거나 대체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발생합니다. 오류원인 ORA-02303 오류는 종속된 타입 또는 테이블이 있는 타입을 DROP하거나 REPLACE 하려고 시도할 때 발생합니다. 해결 방안 타입을 삭제하는 경우, 해당 타입 및 테이블을 모두 삭제하고 작업을 다시 시도하거나 FORCE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타입을 생성하는 경우, 해당 타입 및 테이블을 모두 삭.. 2023. 8. 20.
[오라클-오류] ORA-01940: cannot drop a user that is currently connected (현재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Oracle-오류] ORA-01940: cannot drop a user that is currently connected (현재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 ORA-01940은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를 삭제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오류입니다. 이 오류는 "현재 접속되어 있는 사용자는 삭제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발생합니다. 오류원인 ORA-01940 오류의 원인은 해당 사용자가 여전히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의 세션을 종료하거나 해당 사용자가 로그아웃한 후에 사용자를 삭제해야 합니다. 해결방법 해결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 1. 해당 사용자의 세션을 찾아서 종료하기 v$session 뷰를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세.. 2023. 8. 19.
[오라클-오류] ORA-01918: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Oracle-오류] ORA-01918: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 ORA-01918 오류는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이 오류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로그인하려고 할 때, 특정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려고 할 때, 또는 특정 사용자의 계정을 잠금 해제하려고 할 때 등이 있습니다. 오류 발생 원인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시스템에 사용자가 없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사용자 이름이 올바른지 확인해야 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설치 중에 샘플 스키마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결 방법 가장 간단한 방법은 사용자 이름이 올바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만약 사용자 이름이 올바르지 않다면, 올바른 사용자.. 2023. 8. 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