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1.02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2023년 11월 2일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를 정리합니다. 모바일 작성이라 이해해주세요~
미국 시황
- 미 증시는 국채수익률 곡선 전반의 하락에 따라 투자심리가 개선되어 상승 마감했습니다.
- 연말 증시의 주요 요인이 될 FOMC와 파월 의장의 기자회견, 미국의 ISM 제조업 PMI, 재무부의 국채 발행 계획 등이 발표되었습니다.
- 부진한 제조업 PMI와 국채 발행 계획은 장기물 중심의 국채 수익률을 하락시켰으나, 예상보다 견조한 고용지표 결과로 달러가 강세를 보여 상승 폭을 축소하기도 했습니다.
- FOMC와 파월 의장은 테이퍼링(Tapering)을 11월부터 시작하고 내년 말까지 완료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인플레이션(Inflation)은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재확인했습니다.
- 이에 달러와 국채수익률은 낙폭을 확대하고, 증시는 장중 최고치 부근에서 마감했습니다.
한국 시황
- 한국 증시는 미 증시의 분위기가 나쁘지 않았으나, 외국인의 리턴이 중요한 요인이라고 판단됩니다.
- MSCI 한국 지수 ETF와 MSCI 신흥 지수 ETF는 각각 2.37%, 0.9% 상승하였으며, Eurex KOSPI200 선물도 1.29% 상승하였습니다.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46.60원으로 이를 반영한 달러/원 환율은 12원 하락 출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KOSPI는 0.7~1.2% 내외 상승 출발할 것으로 예상되나, 지난 6월 중순부터 외국인의 순매수 규모가 약 65% 감소하면서 코스피와 코스닥도 각각 9%, 17% 정도 하락하였습니다.
- 전일 10월 수출 데이터가 우호적으로 나온 것은 맞으나 추세적 전환이라고 보기에는 어렵고,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Seven)을 중심으로 상승을 주도했지만 실적 발표를 한 여러 기업들의 향후 전망과 제조업 PMI 부진 등은 부담이 될 전망입니다.
특징 종목
- IT(+2.08%), 커뮤니케이션 서비스(+1.84%), 경기소비재(+1.43%) 등이 미 증시의 상승을 견인하였으며, 아마존(Amazon)(+2.94%),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2.35%), 엔비디아(NVIDIA)(+3.79%), 메타(Meta)(+3.51%) 등 매그니피센트 7 주요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습니다.
- AMD(+9.69%)는 3분기 시장 예상을 소폭 상회한 실적 발표했지만, 4분기 매출 전망을 기대를 하회하였습니다. 그러나 리사 수(Lisa Su)는 내년 데이터센터향 GPU제품 매출이 20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전망하였으며, 이에 칩 메이커들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이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SOX)는 2.33%나 상승하였습니다.
- 제너락(Generrac)(+14.35%)은 시장 예상을 상회한 실적 발표 후 급등하였으며, 넷플릭스(Netflix)(+2.06%)는 광고 요금제 출시 1년 만에 전 세계 고객이 1,500만명을 달성했다고 밝혔습니다.
- 반면, 에스티로더(Estee Lauder)(-18.90%), 페이콤소프트웨어(Paycom Software)(-38.49%), 매치그룹(Match Group)(-15.35%) 및 트림블(Trimble)(-13.09%)은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 전망을 내놓으며 급락하였습니다. 듀폰(DuPont)(-8.18%) 역시 3분기 실적과 향후 가이던스가 시장 예상을 하회하자 큰 폭 하락하였고, CVS헬스(CVS Health)(-0.41%)는 3분기 실적이 견조했음에도 의료 혜택 비용이 예상보다 증가했다는 소식에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염차이나(Yum China)(-15.22%)는 3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하회하였으며, 9월 말과 10월에 소비자 수요가 둔화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해외 증시와 경제지표, 그리고 기타 국제 경제 동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투자 및 금융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이는 단순 참고 자료일 뿐 실제 투자 결정에는 추가적인 조사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주요 지수
◆ 미국 증시
- DOW: 33,274.58p (+221.71p, +0.67%)
- S&P500: 4,237.86p (+44.06p, +1.05%)
- NASDAQ: 13,061.47p (+210.23p, +1.64%)
- 러셀2000: 1,669.70p (+7.42p, +0.45%)
◆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56.25 (+1.30, +2.37%)
- MSCI 이머징지수 ETF: $37.04 (+0.34, +0.93%)
- Eurex kospi 200: 315.05p (+4.00p, +1.29%)
- NDF 환율(1개월물): 1,346.60원 / 전일 대비 12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3,290.95 (+75.06, +2.33%)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6.662 (-0.001, 0.00%)
- 유로/달러: 1.0569 (-0.0006, -0.06%)
- 달러/엔: 150.96 (-0.72, +0.48%)
- 파운드/달러: 1.2151 (-0.0002, -0.02%)
◆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9478% (-14.0bp)
- 5년물: 4.6571% (-19.7bp)
- 10년물: 4.7383% (-19.2bp)
- 30년물: 4.9284% (-16.5bp)
- 10Y-2Y: -20.95bp (5.29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1*13 (+0*07 , +0.23%)
- 5YR T-Notes: 104*30 1/2 (+0*21 1/4, +0.64%)
- 10YR T-Notes: 106*27 1/2 (+1*1 , +0.97%)
- US T-Bonds: 110*14 (+1*24 , +1.6%)
- Ultra US T-Bonds: 113*13 (+1*23 , +1.53%)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0.44 (-0.19, -0.23%)
- 브렌트유: 84.63 (-0.08, -0.09%)
- 금: 1,987.50 (-6.30, -0.32%)
- 은: 22.79 (+0.03, +0.14%)
- 아연(LME, 3M): 2,489.99 (+60.49, +2.49%)
- 구리: 364.90 (+0.95, +0.26%)
- 옥수수: 475.00 (-3.25, -0.68%)
- 밀: 561.75 (+5.25, +0.94%)
- 대두: 1,315.00 (+6.50, +0.50%)
11월 2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경 제》
☞반도체·中 최저 감소에…20개월 만에 '수출 플러스+무역흑자'...10월 수출 5.1%↑…플러스 전환 13개월 만...반도체 3.1%·中 9.5%↓…올해 최저 감소율...9대 수출시장 중 6곳↑…아세안 역대 최고
☞원금 30만원에 이자 970만원…취약계층 울린 불법 대부업체 무더기 적발...대출 어려운 사회 초년생 등 상대...연 최대 5000% 이자 폭리 취해...경찰, 업체 57곳 적발···6명 구속
☞중장년 퇴직연령, 평균 50.5세…"69세까지 경제활동 원해"...중장년 구직자 56.5%, 전 직장서 비자발적 퇴사...재취업 성공해도 임금·고용 조건 열악해져
☞재난지원금 ‘오지급’은 환수 중… 257억 중 79억 걷었다...선지급 환수 철회했지만…오지급·부정수급과 달라...손실보상금 오지급 530억 중 304억 환수 완료
☞테라·켈리 값마저…하이트진로, 맥주 출고가 평균 6.8% 인상...11월 9일부터 맥주류 제품 출고가 평균 6.8%↑...참이슬 후레쉬 등 소주 출고가도 6.95% 인상
《금 융》
☞FOMC, 내일 금리 발표…"동결 여부보다 파월 메시지 주목"...동결 전망 지배적…"내년 하반기 인하할 듯"...파월 금리 전망, 국채 금리 상승 등 언급 주목...FOMC, 2일 오전 3시 금리 결정 발표 예정
☞상승세 달리는 국제 금값, 중동 불안에 지난달 8% ↑...전쟁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 강화 속에 지난달 국제 금값이 3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 기록...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량도 예상치를 넘어섰다는 조사 결과
☞"무조건 오를 줄 알았는데…" 수백억 베팅한 개미들 '비명'...'확전 우려 진정'에 국제유가 급락 '원유 레버리지 매수' 개미 어쩌나...지난달 '유가 상승'에 수백억 베팅...'하락 베팅' 인버스 상품은 순매도...국제유가 급락에 평가 손실 커져
☞美투자사 번스타인“비트코인 2년 내 2억원 돌파”...내년 4월 반감기 앞두고 채굴자 보유 늘려...연말이나 내년초 현물 ETF 승인시 가격 견인...2028년 비트코인 ETF 전체 10% 차지 전망
☞국고채 30-10년 금리역전폭 1년만 최대...이례적인 국고채 발행계획 영향...장기물 발행 줄이고 유통물량도 회수
《기 업》
☞"전 좌석에 유튜브 심었다"…현대차-LG전자-유튜브 '맞손'...현대차·기아 LG전자 유튜브 3사 협력...제네시스 GV80 부분 변경·쿠페에 유튜브 첫 지원..."왓챠 웨이브 U+모바일tv 이어 OTT 확대 목표"
☞포스코인터, 롯데에너지에 6兆 규모 동박원료 공급...포스코인터내셔널-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동박 원료 10년간 60만t 공급 협약 체결...6조원 규모..해외기지 원료 공급 등 협력
☞30대 그룹 CEO 525명, 내년 상반기 임기 만료…연임·퇴진 갈림길...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 30대 그룹 대상 사내이사 현황 조사...내년 상반기 임기 마치는 사내이사 1087명…카카오그룹 117명 최다
☞5대 은행 평균 연봉, 전부 1억원 넘어…희망퇴직금 평균 3.5억원...1위 하나은행 1억1485만원…국민·신한·농협·우리 순...'스톡옵션 포함' 카뱅 1억3597만원…5대 은행 웃돌아
☞中비야디 총이익률, 美테슬라 제쳤다…3분기 순이익 2조원 육박...총이익률 22%로 테슬라 18% 앞서…순이익 작년 동기比 82% 급증...세계 자동차 판매 점유율 4위…올해 연 300만대 판매 달성 전망
《부 동 산》
☞고금리 장기화에 경기둔화…“내년 아파트값 2% 하락”...건산년 내년 집값 전망...수도권 -1%·지방 -3% 예상...지역별 가격차 더 벌어질 듯...“공급 부족에 급락까진 안가”
☞서울 아파트 매물 8만건 육박…"매도자와 매수자간 힘겨루기"...아파트 매물 올 1월 4.9만건 대비 1.5배 늘어...현재까지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 1209건..."매물증가·갭투자 감소에도 바로 약세는 아냐"
☞"조합원 인당 4000만원 더 내라니"...재건축 사업 덮친 환경 규제...방배동 3개 사업장에서만 1700억원 부담...화강암 지반때문인데도 사업자만 속앓이...기준 일본의 10배..."민간업체 배만불려" 지적도
☞“내년에도 집값 하락세 지속... 전세는 2.0% 상승 전망”...올 하반기 상승세 ‘일시적’... 고금리 장기화로 “하락 반전”...전세 가격, 입주물량 감소로 상승...건설 수주·투자 감소 전망... “건설경기 반등 어려워”
☞서울 청약불패는 옛말…분양가 비싸면 대단지 아파트도 미달·미계약 속출...외대앞역 초역세권 4321가구 규모 이문아이파크자이...평균 청약 경쟁률 16.87대 1로 3개 타입 1순위 마감 실패...84㎡ 분양가 13억으로 시세와 비슷···두달 전보다 1억↑...미계약 잇따라···"분양가 급등 피로감"
《사 회》
☞'사기 혐의' 전청조 체포 후 서울로 압송…'묵묵부답'...'혐의 인정하냐' '남현희 가담했냐'에 침묵...잠실 시그니엘·김포 모친 집 등 압수수색...법원, '출석요구 불응 우려' 체포영장 발부...남현희, 전청조 사기 등 혐의로 고소장 내
☞정부, 의료사고 부담 완화 위해 '의료 분쟁 제도 개선 협의체' 구성...국조실장 "의사인력 확충 절차, 속도감 있게 추진"
☞서울지하철 4·7호선 내년1월 '입석'칸 도입…혼잡도 40%↓...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 10월31일 기자간담회서 밝혀...혼잡도 높은 계단 근처 등 2개칸 내 일반석 의자 제거...내년 1월 '기후동행카드' 도입시 승객 증가 효과 예상...노조 오는9일 총파업…백호 사장 "인력감축 협상없다"
☞의대 이어 간호대 정원도 늘린다…2025학년도 1000명 늘어날 듯...2035년까지 간호사 5만6000명 부족..."최소 5년간 확대 필요"...간호인력전문위 첫 회의···시민단체 등도 논의 참여
☞'구미~군위 간 고속도로 건설' 사전타당성조사 용역 착수…조기 착공 기대감 커져...국토교통부·한국도로공사, '구미~군위 간 고속도로 건설사업' 기본구상 마련 위한 사전타당성조사 용역 착수...사업 완료 시 노선 간 이동 편의성 향상으로 산업물류 비용 절감에 큰 도움 기대
《국 제》
☞이스라엘, 가자 난민촌 공습… 美 “일시 전투중단”...400명 사상… 민간인 피해 논란...이 “하마스지휘관 등 사살 성과”...국제사회 “인도주의 위기”반발...美 백악관 “전투중단 검토할때”...3일 블링컨 국무 이스라엘 파견
☞예멘 후티 반군까지 이스라엘에 반기…점점 커지는 이란 '저항의 축'...예멘과 접한 사우디는 긴장…중동 전역으로 분쟁 확산 우려...이란 외무, 카타르서 하마스 수장과 회동…가자지구 상황 논의
☞伊 피렌체 미켈란젤로 비밀의 방, 15일 일반에 첫 공개...미켈란젤로가 약 500년 전 교황 미움 사 숨어 그림을 그렸던 작은 공간...11월 15일부터 내년 3월 30일까지 매주 최대 100명 입장 허용
☞“펜타곤, 한국 등 방위기여 보고하라” 관련법 발의…무임승차론 다시 고개...美공화 ‘親트럼프’ 하원의원 알렉스 무니...“방위비 분담약속 이행 불충분”…관련법 발의...국방부에 ‘韓등 동맹국 방위기여 보고’ 요구
☞'잊힌 전쟁될라'…美 고위급 "우크라 지원 멈추지 말아야" 촉구..."우크라 원조 중단은 곧 푸틴 도와주는 꼴"..."팔 자치정부가 하마스 대신 가자지구 통치해야"
Powell 연준 의장 기자회견 주요 내용
1. 금번 회의 결과는 불확실성과 위험을 고려, 신중하게 결정. 다음 번 회의들 관련한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않았음
2. 긴축 정책으로 인한 완전한 효과는 아직 발현되지 않았으며, 특히 경제에 대한 효과를 보려면 시간이 필요
3. 목표 물가인 2%에 도달한다고 확신할 수 있을 때까지 긴축 정책 유지할 것
4. 최근 상승한 장기 국채 금리는 가계와 기업의 차입비용이 상승했다는 것을 보여줌. 다만, 금리 상승이 정책 기대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
5. 경기침체를 예상하고 있지 않음
6. 아직 통화정책은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이 아님. 기준금리 인하 논의는 시기상조
7. 금번 여름 물가 수치는 상당히 양호했음
8. QT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어떠한 변화도 고려하지 않고 있음
#경제시황 #주요이슈 #글로벌시황 #뉴스 #국채수익률 곡선 하락 #테이퍼링 시작 #인플레이션 일시적 #외국인 리턴 #달러/원 환율 하락 #수출 데이터 우호적 #IT 섹터 강세 #AMD와 제너락 급등 #에스티로더와 페이콤소프트웨어 급락
'Economy > Stock Mark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11.06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160) | 2023.11.06 |
---|---|
2023.11.03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194) | 2023.11.03 |
2023.11.01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194) | 2023.11.01 |
2023.10.31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129) | 2023.10.31 |
2023.10.30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187) | 2023.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