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Stock Market

2023.11.24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by 눈부셔™ 2023. 11. 24.
728x90

2023.11.24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2023년 11월 24일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를 정리합니다. 모바일 작성이라 이해해주세요~

2023.11.24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미국 시황

미국 증시, 추수감사절 휴장

 

 

유럽 시황

유럽 증시, PMI 호조에 상승 마감

 

  • 유럽 증시는 기업 활동 수준이 전월대비 소폭 개선되면서 심각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면서 상승 마감. Stoxx 600 지수는 에너지 및 헬스케어 섹터의 강세에 힘입어 0.3% 상승하며 지난 9월 말 이후 최고치 기록. 노보노디스크(+1.01%)는 오젬픽ㆍ위고비 등 체중 감량 및 당뇨병 치료제 생산을 늘리기 위해 약 23억 달러 규모의 투자안을 발표하며 강세. 
  • 그러나 독일의 새해 예산안 표결이 무기한 연기된 가운데 ‘부채억제(debt brake)’ 관련 이슈와 유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 의사록에서 인플레이션을 목표치로 되돌리는 마지막 단계는 상당한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언급한 점은 상승폭을 제한. 또한 독일, 프랑스 등 주요국의 국채수익률은 상승하였고 유로화는 달러대비 소폭 강세를 보여. 한편, 유로존 주식시장의 변동성 지수는 지난 7월 이후 최저인 13.64를 기록. (스톡스 유럽 600 +0.27%, 영국 +0.19%, 프랑스 +0.24%, 독일 +0.23%)
  • 변화요인: ① PMI ② ECB ③ 독일

 

 

한국 시황

한국 증시, 이벤트 드리븐

 

  • 한국 증시는 11월 24일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이 1299.36원으로 이를 반영한 달러/원 환율이 1원 상승 출발 예상. Eurex KOSPI200 선물은 0.03% 하락. KOSPI는 약보합 출발할 것으로 예상. 
  • 전일 국내증시는 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하며 종목별 차별화 모습 나타나. 유럽 증시 역시 강보합권의 모습을 보였지만, 국채수익률 상승은 상승폭을 제한시키도 해. 최근 국고채 수익률의 등락을 살펴보면 주요국 중 가장 큰 폭의 하락(채권 가격 상승)을 보이며 ‘오버슈팅(Over-shooting)’ 논란이 있었던 만큼 되돌림 나타날 가능성 배제 못해. 또한 12월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정기변경을 앞두고 전일 편출입 결과가 공개. 변경일은 12월 15일만큼 그 전까지 이벤트 드리븐(Event Driven) 차원의 접근 유효.

 

 

특징 종목

 

  • 유럽 증시에서는 에너지 및 헬스케어 섹터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특히,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는 오젬픽(Ozempic)ㆍ위고비(Wegovy) 등 체중 감량 및 당뇨병 치료제 생산을 늘리기 위해 약 23억 달러 규모의 투자안을 발표하며 1.01% 상승하였습니다. 노보노디스크는 세계 최대의 인슐린(Insulin) 제조업체로, 오젬픽과 위고비는 노보노디스크의 핵심 성장 엔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한국 증시에서는 코스피200과 코스닥150 정기변경에 따른 편출입 종목들이 주목받았습니다. 코스피200에는 삼성바이오로직스(Samsung Biologics), 셀트리온헬스케어(Celltrion Healthcare), 한국항공우주(Korea Aerospace Industries), 한화솔루션(Hanwha Solutions) 등 4개 종목이 신규 편입되었습니다. 코스닥150에는 셀리버리(Celivery), 에이치엘비(HLB), 케이엠더블유(KMW), 에이치엘사이언스(HL Science) 등 8개 종목이 신규 편입되었습니다. 이들 종목들은 정기변경일인 12월 15일까지 거래량과 가격 변동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해외 증시와 경제지표, 그리고 기타 국제 경제 동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투자 및 금융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이는 단순 참고 자료일 뿐 실제 투자 결정에는 추가적인 조사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주요 지수

 

◆ 미국 증시 (휴장)

 

◆ 유럽 증시

- 스톡스 유럽 600: 458.48p(+1.23p, +0.27%)

- 영국: 7,483.58p (+14.07p, +0.19%)

- 프랑스: 7,277.93p (+17.20p, +0.24%)

- 독일: 15,994.73p (+36.91p, +0.23%)

 

◆ 한국 관련

- Eurex kospi 200: 337.85p (-0.10p, -0.03%)

- NDF 환율(1개월물): 1,299.36원 / 전일 대비 1원 상승 출발 예상

 

◆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3.755 (-0.165, -0.16%)

- 유로/달러: 1.0906 (+0.0018, +0.17%)

- 달러/엔: 149.55 (+0.01, -0.01%)

- 파운드/달러: 1.2536 (+0.0042, +0.34%)

 

◆ 미국 국채시장 (휴장)

 

◆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브렌트유: 81.42 (-0.54, -0.66%)

- 아연(LME, 3M): 2,537.00 (+42.00, +1.68%)

 

 

 

11월 24일 블룸버그 뉴스

 

1. OPEC+ 회의 온라인으로 진행, 유가 하락에 산유국들 고심

• OPEC+ (OPEC과 러시아 등 비OPEC 산유국들의 연합)은 30일로 연기된 회의를 온라인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 회의에서는 내년 산유량 수준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글로벌 석유시장의 불안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

• 유가는 회의 연기 소식에 급락한 데 이어 목요일에도 2% 넘게 하락했습니다. 브렌트유 (Brent crude)는 배럴당 75.6달러로 거래되고 있습니다.

 

2.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에 무담보 대출 지원 검토

• 중국 당국은 부동산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자격을 갖춘 부동산 개발업체에게 무담보 대출을 허용할 수도 있다고 소식통이 밝혔습니다.

• 무담보 대출은 토지나 자산을 담보로 요구하지 않고, 기업이 사업 운영에 투입함으로써 부채 상환을 위한 여유 자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이번 지원 방안은 현재 논의 중이며, 승인될 경우 부동산 업계의 자금난을 해소하고 수백만 채에 달하는 미완성 주택의 완공을 돕는 가장 강력한 시도가 될 수 있습니다.

 

3. ECB, 의사록서 필요 시 추가 인상 의지

• 유럽중앙은행 (ECB)은 10월 정책회의 의사록에서 비록 금리를 동결했지만, 향후 필요시 다시 인상해야 한다는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 ECB는 디스인플레이션 (disinflation, 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는 현상) 과정이 예상대로 진행되고 있으며, 기저 인플레이션 (core inflation, 식료품이나 에너지 등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한 물가 상승률)이 고점을 지나 하락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 ECB는 현재 기준금리를 0%, 예금금리를 -0.5%로 유지하고 있으며, 2023년 말까지 총 1조 8500억 유로의 코로나19 긴급구매계획 (PEPP)을 실행할 예정입니다.

 

4. 유로존 PMI, 6개월 연속 위축 신호. 경기침체 가능성 높아져

• 유로존의 경기 침체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로존 종합 PMI (Purchasing Managers’ Index, 구매관리자지수)가 11월 47.1로 시장 예상치 46.8을 다소 상회했지만, 6개월째 기준선인 50을 밑돌며 위축 신호를 보냈습니다.

• 제조업과 서비스업 PMI 모두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습니다. 제조업 PMI는 11월 49.9로 50을 아슬아슬하게 밑돌았으며, 서비스업 PMI는 11월 45.7로 10월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여전히 위축 영역에 머물렀습니다.

• Hamburg Commercial Bank의 Cyrus de la Rubia는 “유로존 경제는 진흙탕에 빠졌다”며, 최근 지표들은 2분기 연속 마이너스 GDP 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지적했습니다.

 

5. 튀르키예, 기준금리 40%로 깜짝 인상

• 튀르키예 중앙은행이 물가 안정을 위해 기준금리를 40%로 500bp 전격 인상했습니다. 이는 시장 예상치 250bp보다 두 배나 빠른 긴축 스텝으로, 이에 달러-리라화 환율이 한때 0.8% 넘게 하락했습니다.

• 통화정책위원회는 “긴축적 통화 정책 기조는 지속적 물가 안정이 필요로 하는 만큼 유지될 것”이라면서도, 앞으로 긴축 속도를 늦출 생각임을 시사했습니다.

 

 

외인 최다 매수 종목 - 금양
기관 최다 매수 종목 - 하이브
외인 매집 - 효성
연기금 매집 - DI동일
오늘 상승 예상 - 부광약품

 

 

#경제시황  #주요이슈  #글로벌시황  #뉴스  #테이퍼링 #코로나19 #인플레이션 #달러 강세 #달러/원 환율 #코스피200 #코스닥150 #국고채 수익률 #오버슈팅 #이벤트 드리븐 #노보노디스크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헬스케어 #한국항공우주 #한화솔루션 #코스피200 #코스닥150  #OPEC+  #유가  #산유량  #중국  #부동산  #무담보 대출  #ECB  #금리  #인플레이션  #유로존  #PMI  #경기침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