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conomy/Stock Market

2024.07.18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by 눈부셔™ 2024. 7. 18.
728x90

2024.07.18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2024년 7월 18일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를 정리합니다. 모바일 작성이라 이해해주세요~

 

2024.07.18 글로벌 시황과 개장전 주요 이슈 정리

 

미국 시황

 

  • 반도체 규제 우려와 실적 둔화로 인해 나스닥 지수가 2022년 말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 반면, 다우 지수는 유나이티드헬스와 존슨앤존슨의 상승에 힘입어 6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신고가 랠리를 이어갔습니다.
  • VIX 지수는 5월 초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WTI 원유 가격은 재고 감소로 인해 상승했습니다

 

 

한국 시황

 

  • 반도체 중심의 매도세와 투자심리 악화로 인해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MSCI 한국 지수 ETF는 1.7%, MSCI 신흥 지수 ETF는 1.6% 하락했습니다.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78원으로 전일 대비 5원 하락 출발이 예상됩니다.

 

 

특징 종목

 

  • 반도체 및 대형 기술주에 대한 광범위한 매도 압력으로 IT,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경기소비재 섹터가 하락을 견인했습니다.
  • 특히,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와 VanEck 반도체 ETF도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 ASML, TSMC, 엔비디아, 브로드컴, AMD 등 주요 반도체 기업들이 큰 폭으로 하락했습니다.
  • 반면, 존슨앤존슨과 유나이티드헬스는 호실적 발표로 상승했습니다.

 

 

채권 및 상품동향

 

  • 미 국채 수익률은 보합권에서 등락을 보였으며, 달러 인덱스는 일본 정부의 엔화 가치 방어와 트럼프 공화당 대선 후보의 약 달러 정책 지지 발언에 하락했습니다.
  • 영국 파운드화는 예상을 상회한 Core CPI 영향으로 달러 대비 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랐습니다.
  • WTI 원유 가격은 재고 감소로 인해 상승했으며, 비트코인은 장중 6만 5천 달러를 상회했습니다.

 

 

이러한 해외 증시와 경제지표, 그리고 기타 국제 경제 동향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투자 및 금융 전략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만, 이는 단순 참고 자료일 뿐 실제 투자 결정에는 추가적인 조사와 전문가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주요 지수

 

미국 증시

- DOW: 41,198.08p (+243.60p, +0.59%)

- S&P500: 5,588.27p (-78.93p, -1.39%)

- NASDAQ: 17,996.92p (-512.42p, -2.77%)

- 러셀2000: 2,239.67p (-24.01p, -1.06%)

 

한국 관련

- MSCI 한국지수 ETF: $67.08 (-1.15, -1.69%)

- MSCI 이머징지수 ETF: $43.57 (-0.72, -1.63%)

- Eurex kospi 200: 390.35p (-3.85p, -0.98%)

- NDF 환율(1개월물): 1,377.63원 / 전일 대비 5원 하락 출발 예상

- 필라델피아 반도체: 5,408.71 (-395.32, -6.81%)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 103.765 (-0.505, -0.48%)

- 유로/달러: 1.0938 (+0.0039, +0.36%)

- 달러/엔: 156.27 (-2.08, +1.33%)

- 파운드/달러: 1.3011 (+0.0037, +0.29%)

 

미국 국채시장

- 2년물: 4.4400% (+2.3bp)

- 5년물: 4.0790% (+0.5bp)

- 10년물: 4.1556% (-0.2bp)

- 30년물: 4.3720% (0.0bp)

- 10Y-2Y: -28.44bp (2.48bp 역전 확대)

(국채선물)

- 2YR T-Notes: 102*20 1/4 (+0*00 , +0.01%)

- 5YR T-Notes: 107*21 1/2 (+0*01 3/4, +0.05%)

- 10YR T-Notes: 111*14 (+0*03 1/2, +0.1%)

- US T-Bonds: 120*17 (+0*04 , +0.1%)

- Ultra US T-Bonds: 128*04 (+0*04 , +0.1%)

 

상품시장 ($, 단 곡물, 구리는 센트)

- WTI: 82.85 (+2.12, +2.63%)

- 브렌트유: 85.08 (+1.28, +1.53%)

- 금: 2,459.90 (-6.10, -0.25%)

- 은: 30.38 (-0.95, -3.01%)

- 아연(LME, 3M): 2,842.00 (-43.00, -1.49%)

- 구리: 440.85 (-4.05, -0.91%)

- 옥수수: 411.75 (+3.75, +0.92%)

- 밀: 539.25 (+11.00, +2.07%)

- 대두: 1,041.00 (-1.00, -0.10%)

 

 

7월 18일 개장전 주요이슈

 

* 뉴욕증시, 7/17(현지시간) 반도체株 폭락 등 기술주 투매 속 혼조 마감…
다우 41,198.08 (+0.59%),
나스닥 17,996.93 (-2.77%),
S&P500 5,588.27 (-1.39%),
필라델피아반도체 5,408.71 (-6.81%)

* 국제유가($,배럴), 美 원유재고 급감 및 달러화 약세 등에 급등...
WTI 82.85 (+2.59%),
브렌트유 85.08 (+1.61%)

* 국제금($,온스), 이익실현 매물 출회 등에 하락... Gold 2,459.90 (-0.32%)

* 달러 index, 트럼프 환율 발언 속 하락... 103.73 (-0.52%)

* 역외환율(원/달러), 1,379.79 (-0.08%)

* 유럽증시, 영국(+0.28%), 독일(-0.44%), 프랑스(-0.12%)

* 미 6월 신규주택 착공 3.0% 증가…예상치 상회

* 미 6월 산업생산, 전월대비 0.6%↑…예상치 상회

* 월러 연준 이사 "금리인하 타당한 시점 가까워져"

* 뉴욕 연은 총재, 금리인하 임박 시사…"물가 지표들, 모두 올바른 방향"

* 美 연준 경제동향보고서 "경제활동 정체·감소 지역 증가"

* 美 중기물 국채 바이백, 18일로 하루 연기…기술적 문제

* 美 재무부 20년물 입찰 금리 4.466%…양호한 수요

* 미 달러화 강세…달러-엔 급락세 지속

* 달러-엔, 156엔선도 위협…시장은 당국 개입 의심

* BoA "AI주 개인투자자, 닷컴 버블 사태 때처럼 데일 수 있다"

* 엔비디아 6%↓·ASML 11%↓…美 증시서 반도체주 일제히 급락

* "MS·구글, 해외 데이터센터 통해 中 기업에 엔비디아 칩 허용"

* 美 동맹국에 통보 "중국에 가장 엄격한 반도체 무역제한 고려"

* "트럼프 재집권하면 채권금리 급등 현실성 없다"

* 英, 6월 CPI 전년비 2.0%↑…예상치 소폭 상회

* 유로존 6월 CPI, 전년比 2.5%…오름폭 둔화

* '안 꺾이는' 英 서비스 인플레이션…국채금리 상승

* 中 상반기 신규 조선 수주, 전년비 44%↑

* 日 장기금리 하락…美 9월 인하론 탄력

* 중부지방 40~80mm 강한 비...낮 최고 33도


[기업/산업]

* 한수원·두산에너빌·대우건설, 체코 원전 짓는다…바라카 이후 15년만

* SK이노베이션·E&S 합병 결의…자산 106조 에너지기업 탄생

* SK온, 트레이딩인터·엔텀과 합병…배터리 살리기 총력전

* SK온 합병 '찬성'한 한투PE·MBK, 제시한 조건은

* SK이노베이션, 불리한 합병비율 택해 일반주주 피해 '논란'

* 尹정부, 탈원전 폐기 2년만에 성과 … K원전 생태계 부활 '축포'

* 공사기간·예산 경쟁력으로 佛 제압 … 막판 대역전극 성공

* 내년 3월 정식계약·2036년 가동 목표

* '에너지대세' 원전 발주 봇물 … 폴란드·루마니아도 조준

* 폴더블폰 슬림화 전쟁…삼성전자 '7㎜ 승부수'

* 갤럭시 Z폴드·플립6 인도서도 '흥행 예약'…사전주문 40% 증가

* 트렌드포스 "AI 서버 수요 확대… 내년 HBM 공급량 두 배↑"

* S&P, 두산밥캣 '부정적 관찰대상' 지정…"경영개입 여지 커져"

* 목·어깨 통증 호소했는데…'로봇 조끼' 입고 車 조립하나

* "EU, '구글-삼성 AI 파트너십' 경쟁제한 여부 의견수렴 중"

* 'BBB+' AJ네트웍스, 회사채 수요예측서 '언더'로 목표액 6배 모여

* AI 열풍에 MLCC도 뛴다…삼성전기 '1조 클럽' 복귀하나

* 이동형 로봇 사업 속도내나…삼성, SW 국제인증 2개 획득

* 110조원 함정시장 정조준…HD현대, 함정기술硏 설립

* 쏟아지는 컨테이너선 발주, 웃돈 주고 韓에 맡긴다

* 신재생에너지가 트렌드라더니, 호황 누리는 석유 산업

* EV3 신기술 봤더니…회생 제동에 자율주행

* 韓정부 반도체 R&D 거점…벨기에 브뤼셀에 둥지

* KT, 10배 빠른 '콤보 인터넷' 도입

* 美영토 넓히는 국내 의료AI 폭풍성장 예고

* ‘리니지 왕국’ 엔씨소프트의 추락… “중앙집중형 개발로 게임 트렌드 놓쳐”

* 현대차그룹, 전기차에 佛발레오 부품 검토

* 최태원 "세계경제는 정글 민·관 협동해야 생존 가능"

* SK소송서 드러난 비자금, 증여세 부과되나

* 침수경고·유모차 길 안내…더 똑똑해진 지도

* 생활가전 中企 60조 뷰티시장 '군침'

* 재상장 성공한 페이코인… 국내 사업 포기가 비결?

* 흔들리는 '구영배 플랜'...티몬·위메프 합병으로 뚫을까?

* 英 주얼리 모니카비나더 내달 철수… 패션업계 불황에 줄줄이 짐 싼다

* GC, 홍콩법인 지분 전량 중국 회사에 매각…3500억원 규모

* 에이피알, PDRN 사업 뛰어든다

* 은행 "3분기 주택대출 수요 급증할 것"

* '자율車의 눈' ADAS 칩 선도하는 넥스트칩

* 유한양행, 휴대폰 부품사와 손잡고 화장품, 미용·의료기기 시장 진출

* 셀트리온 램시마, 유럽서 압도적 1위

* SK바이오팜, 7900억원 투자…亞 방사성의약품 1위 노린다

* 소룩스, 치매 개선 조명 개발…美 아이칸 의대와 내년 상용화

* "슈퍼사이클 온다" 상승 힘받는 조선주

* 돌아온 한전채, 한달새 2조 발행

* 빅테크만큼 뛸까…美 석유·가스주 '앗 뜨거'

* 외국인 팔자에 하이닉스 5% 급락

* 삼성전자·네이버 판 개미, 현대차·기아로 환승

* 美, 대중무역 경고…도쿄일렉트론 7% 하락

* 가상자산보호법 19일 시행 불공정거래 최대 무기징역

* E1, 회사채 수요예측서 목표액 6배 주문 확보

* 9부능선 넘은 우리종금-포스증권 합병…증선위 통과

* 대신증권, 9월 종투사 신청할 듯... 마지막 고비는

* 실탄 확보 나선 카카오게임즈, 2800억 교환사채 발행 추진

* 산일전기, 공모가 상단 초과 확정…시총 1조원 넘겨

* 유럽 원전수주 교두보 마련 … 폴란드·루마니아도 조준

* 한전기술 등 원전株 추가상승 기대

* 증시 원전株 '눈치보기' 돌입

* 中 쉬인 IPO로 시험대 오른 런던거래소

* 올라도 너무 올라…'조정장 우려' 감도는 월가

* 환골탈태 아디다스 '장밋빛'…혁신실종 나이키는 '부진 늪'

* 美 대형은행 호실적…IB부문이 2분기 견인

* 테마주 조정…'빚투' 늘린 개미


[경제/증시/부동산]

* '고용 훈풍' 가셨나…비자발적 실업자 증가 폭 5개월 연속 확대

* 상반기 주식사채 권리행사액, 반년새 6.9% 감소

* 1분기 깜짝성장+수출 호조세 반영…건설·소비 회복이 관건

* "사전공시 도입 전에 미리"…블록딜 폭탄에 증시 몸살

* 전세사기 우려에 상반기 전국 非아파트 전세액 비중 20% 턱걸이

* 수도권 '생애 첫 주택' 30대 비중 절반 육박

* 수도권에 6만가구 더 짓고 분양가상한제 완화

* 18일 부동산 대책 발표…공급 방안 내놓는다

* 2분기 상업·업무시설 '들썩'…전국 거래량 12% 늘었다

* "반포 현대, 재초환 부담금 자료 내라"

* '강남대어' 잠실진주·청담삼익 공사비 합의로 일반분양 속도


[정치/사회/국내 기타]

* 대통령실 "24조 체코 원전 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15년만 쾌거"

* 성태윤 “체코 원전, 예상 사업비 24조원... 최종 계약금액은 협상으로 결정”

* 상속세 개편 지지부진에 與 자본이득세 도입추진

* 우원식 의장 “野, 방송4법 원점 재검토 해달라”

* 국회 정무위, 김병환 금융위원장 후보자 인사청문 계획 채택…22일 확정

* 평행선 달리는 與野…발묶인 '연금개혁 논의'

* 권성동 "임성근 골프 단톡, 민주당 관계자들이 주동"

* "상속세 내느니 한국 탈출"… 올해 자산가 1200명 짐싼다

* '사법리스크'만 키운 與 전당대회

* 과기·고용부장관 곧 인선 저출생수석 유혜미 물망

* 카카오 김범수 구속 기로

* 폭우에 떠내려올라…北 '나뭇잎 지뢰' 주의보


[국제/해외]

* 트럼프 "기본관세 10% 도입…대선前 금리인하 안돼"

* 대만 콕 찍은 스트롱맨 "방위비 지불해야"

* 공화, 백악관·의회 장악땐…'전기차 보조금' 폐지

* 美, 대중 반도체 제재 수위 높인다… "ASML 등 무역제한 강화 검토"

* ASML, 2분기 매출 62.4억유로…예상치 상회

* '경선 라이벌' 헤일리도…"美 위해 그와 함께해야"

 

 

7월 18일 전망과 전략

 

  • 반도체 및 대형 기술주에 대한 매도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해당 섹터에 대한 비중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대신, 안정적인 실적을 보이는 헬스케어 및 에너지 섹터에 대한 비중을 늘리는 전략이 유효할 것입니다.
  • 또한, 달러 약세와 원유 가격 상승을 고려하여 관련 상품에 대한 투자도 검토해볼 만합니다.

 

 

 

#경제시황  #주요이슈  #글로벌시황  #뉴스  #미국증시 #나스닥 #다우지수 #반도체규제 #VIX지수 #WTI원유 #한국증시 #반도체매도 #투자심리 #MSCI한국지수 #달러원환율 #특징종목 #ASML #TSMC #엔비디아 #존슨앤존슨 #유나이티드헬스 #미국국채 #비트코인

728x90